닫기

- 국어사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. -

닫기

국어사학회

홈으로 통합검색 사이트맵

홈으로 I 로그인 I 회원가입 I 아이디/비밀번호 찾기 I 이메일

논문검색
HOME  •  학회지  •  논문검색

ISSN : 1738-477X

국어사연구, Vol.33 (2021)
pp.241~270

DOI : 10.14727/khl.2021.33.241

- 점토석독구결 『합부금광명경』 권3에 사용된 빼침선 연구 -

문현수

(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전임연구원)

본고에서는 점토와 자토가 함께 현토되어 있는 고려시대 석독구결자료인 『합부금광명경』 권3의 빼침선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. 빼침선은 『유가사지론』 계통 점토석독구결에서 사용되는 구결점으로서, 이 계통에 속하는 자료인 『합부금광명경』 권3에서도 사용되고 있다. 『합부금광명경』 권3에 쓰인 빼침선의 유형과 본고의 해독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. ① 빼침선(22~32)는 ‘[일이]’이다. ② 빼침선(23~24)는 ‘/[/爲有]’이다. ③ 빼침선(24)는 ‘[시사]’이다. ④ 빼침선(43)은 ‘[록]’이다. ⑤ 빼침선(51)는 ‘-[더]-’이다. 한편 각 빼침선과 동일한 위치에 현토된 단점들의 해독안은 다음과 같다. ① 22~32(ㆍ)는 ‘[이]’이다. ② 23~24(ㆍ)는 ‘()[]’이다. ③ 24(․)는 ‘[사]’이다. ④ 43(ㆍ)은 ‘[로]’이다. ⑤ 51(ㆍ)는 ‘[다]’이다. 이를 고려하면 빼침선들은 동일 위치 단점의 해독을 포함한 좀 더 복잡한 형태적 구성을 나타내거나(①-④), 단점의 해독과 형태는 동일하지만 서로 변별되는 형태소를 표기하기 위해 마련된 구결점이다(⑤). 특히 빼침선(51)은 다른 빼침선과 외형에서 차이를 보이는데, 이는 위와 같은 해독 결과의 차이를 나타내기 위한 것일 가능성이 있다. 또한 빼침선(23~24)과 빼침선(43)은 대응되는 자토가 언어 변화의 결과를 반영한 후대형인 경우가 있다. 이는 『합부금광명경』 권3의 점토가 자토보다 좀 더 보수적인 표기법을 따르고 있거나 점토가 자토보다 이른 시기에 현토되었기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생각된다.

On the Tapered-lines in He Bu Jin Guangming Jing volume 3’s Point-attached Seokdokkugyol

Moon, Hyunsoo

In this paper, the Tapered-lines in He Bu Jin Guangming Jing volume 3 having kugyol points and kugyol characters have been studied. Tapered-lines are kugyol points used in Yuqieshidilun’s point-attached seokdokkugyol. He Bu Jin Guangming Jing volume 3 is a kind of Yuqieshidilun’s point-attached seokdokkugyol. Thus Tapered-lines are also used in He Bu Jin Guangming Jing volume 3. The Tapered- lines in He Bu Jin Guangming Jing volume 3 are deciphered as follows. ① Tapered-lines(22~32) are deciphered as [il-i]. ② Tapered-lines(23~24) are deciphered as /[hʌy-s]. ③ Tapered-lines(24) are deciphered as [si-sa]. ④ Tapered-lines(43) are deciphered as [lo-k]. ⑤ Tapered-lines(51) are deciphered as [tə]. These tapered-lines represent more complicated linguistic forms(①-④) or homonymy forms(⑤) compared to the simple kugyol-points in the same location. In particular, tapered-lines(51) have different outward appearances compared to the other tapered lines. It seems that the difference of the outward appearances indicate the difference of the decipherment results. Tapered-lines(23~24) and tapered-lines(43) are occasionally deciphered as new linguistic forms representing the results of language changes. This seems to be because that the point-attached kugyols of He Bu Jin Guangming Jing volume 3 represent conservative orthography, or are written earlier than chatacter-attached kugyols.

다운로드 리스트